티스토리 뷰
목차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암으로, 전 세계 여성에게 발병하는 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이며, 한국에서는 발생률 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원인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입니다. HPV는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200여 종류 이상의 바이러스 중 15종류 가량이 자궁경부암을 유발합니다. 특히 16번과 18번 바이러스가 가장 위험한 인자로 꼽힙니다. 이외에도 흡연, 성병, 클라미디아, 면역 체계 결핍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증상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병이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질 출혈, 성교 시 통증이나 불편감, 골반 통증이나 하복부 통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방법
치료 방법은 암의 병기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수술이 가장 일반적인 치료 방법으로, 자궁경부나 자궁을 제거하는 수술이 포함됩니다. 병이 더 진행된 경우에는 방사선 요법과 화학 요법이 병행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요법은 암세포를 파괴하기 위해 고에너지 방사선을 사용하는 방법이며, 화학 요법은 약물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방법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자궁경부 세포 검사(Pap smear)가 중요합니다. 이 검사는 HPV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조기 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HPV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백신 접종입니다. 현재 여러 종류의 HPV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며, 9세에서 26세 사이의 여성은 국가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통해 무료로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2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