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크론병 원인, 증상, 치료

머니파워1332 2024. 12. 31. 17:00

크론병 원인,증상,치료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입니다.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하며, 병적인 변화가 분포하는 양상이 연속적이지 않고 드문드문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질환이 발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그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원인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과 함께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면역반응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흡연이 크론병의 발생을 촉진하며, 흡연자의 경우 수술을 받은 후에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상

해당 질환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통: 환자의 약 90%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 설사: 하루에 3회 이상의 설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체중 감소: 식욕 부진, 소화 불량, 오심, 구토 등의 증상으로 인해 체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전신 쇠약감: 피로감, 무력감,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항문 주위 질환: 항문 주위에 농양이 생기거나, 치루 등의 항문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혈변: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신체검진, 혈액검사, 내시경 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을 종합하여 판단합니다. 특히, 내시경 검사는 소화관의 염증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 방법입니다. 이 외에도 혈액 검사로 염증 수치를 확인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영상 검사를 통해 소화관 전체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치료

크론병은 현재까지 완치가 불가능한 질환입니다. 대신, 증상을 완화하고 염증 및 손상된 조직의 파괴를 늦추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를 진행합니다. 치료는 약물 치료와 수술 치료로 나눌 수 있으며, 약물 치료에는 항염증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 항생제, 생물학적 제제 등이 사용됩니다.

또한 크론병은 과민성대장 증후군과 혼동될 수 있는데, 두 질환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소화관 외에도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보다 철저한 진단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환자 개개인의 증상과 경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하므로,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